IT Story

Why, What, How...? 철학적, 인문학적 성찰이 LLM-AI에 의미 없는 이유?

검이불루 2024. 2. 9. 09:14
반응형

인문학적 성찰이 떨어지면, 사람들은 Why? 보다는 How? 에 집착하곤 합니다.


그야말로 LLM-AI 광풍에 전 세계가 휩쓸려가고 있는 이 흐름 속에서 대부분의 정보는 Why? 보다는 How?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챗GPT, 코파일럿, 바드, 클로버 등등 셀 수 없이 많은 LLM(Large Language Model)AI를 앞다투어 출시하며 전 세계 모든 정보통신기업이 사활을 걸고 밀려나지 않기 위해 발버둥 치고 있습니다.

 

이 거대 LLM 모델 이전에도 인공지능 모델들은 존재해 왔습니다. AI가 우리 국민들에게 각인된 계기는 아마도 지금은 은퇴한 이세돌 사범을 꺾은 알파고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알파고까지만 해도 AI의 추론은 인간의 통제 속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픈AI의 챗GPT-(LLM은 구글에서 만들었습니다.)를 계기로 인간은 AI의 추론 방식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저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저런 대답이 나왔다고 추론만 하고 있을 따름입니다.

 

LLM은 쉽게 말하면 우리가 어떤 질문을 AI에 전달하면, 대답이 될 문장을 만들면서 이 단어 다음에 어떤 단오가 나올지 AI가 추론을 해서 그럴싸한 대답을 만들어 주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인간은 방대한 자료를 넣어주고, 엔비디아의 대당 몇천만 원씩 하는 GPU 유닛을 몇만 개 단위로 투입하여, 파라미터(매개변수)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려준 결과 어느 시점에서 인간의 예상치를 웃도는 정확한 결과를 뱉어내기 시작했습니다.

 

윤리적 파장, 사회적 파장 등등 여러 가지 요소들을 생각하며 준비만 하던 세계 굴지의 IT 기업들은 잃을 것 없는 open AI의 챗GPT를 계기로 미친 듯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 미친 듯한 경쟁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은 IT 기업들이 더 잘 알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밀리면 기업의 존폐마저 장담할 수 없기에 모든 IT 기업들은 올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쩐의 전쟁 앞에서 많은 시간과 여러 분야의 두뇌들이 모여 사회적 성찰과 철학적, 인문학적 고민을 해야 하는 인문학적 통찰은 끼어들 여지가 없습니다.

 

작금의 LLM-AI 이전의 과학은, 기술적 성취가 이루어지면 그 기술적 성취를 충분히 철학적으로 논의하며 합의를 거쳐 갈 충분한 시간적 사회적 역량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LLM-AI는 인간이 다듬고 발전시켜야 할 철학적 인문학적 존재를 부정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LLM-인공지능 모델 자체가 인간은 알 수 없는 추론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인문학적 패러다임을 제시할(제시되는 패러다임의 당위성, 위험성 여부는 논외로 하고 )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이 있기 때문입니다.

며칠 전 인공지능의 대부로 불리는 제프리 힌턴 박사가 구글을 퇴사하며, 인공지능의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적게는 수백 년 많게는 수천 년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야 할 이유에 대한 투쟁의 역사는 이제 그 종말을 고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인간의 오감이 통제되고, 주입되며 수명이 수백 년으로 늘어나고, 육체가 필요하면 바꿀 수 있는 의복처럼 통용되는 세상이 다가온다면 인간을 인간이라 칭할 수 있는 요소는 뭐가 남을까요?

 

아니, 어쩌면 우리인간은 지금 시뮬레이션 우주속에서 NPC로 살아가고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