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에는 부족하지만 그래도 유입경로에 대한 인포메이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유입경로에 대하여 나름대로 추측을 해 보았습니다.
1. [검색어]m.search.naver.com/???
모바일 기기에서 네이버 검색을 통해서 들어온 유입.
2. [검색어]cafeblog.search.naver.com/???
네이버 검색 중에서 블로그 검색을 통해서 들어온 유입.
3. [검색어]search.naver.com/???
네이버 통합검색을 통해서 들어온 유입.
4. [검색어]www.google.co.kr/url????
구글 검색을 통하여 들어온 유입.
5. openapi.naver.com???
클릭했을 경우, 내 글로 링크되면 네이버 open api를 이용하여 만든 사이트에 내 글이 수집되었을 확률이 높음. - 정확한 내용은 아님.
클릭했을 경우, 네이버 개발자 센터가 나올 경우, 네이버 봇으로 판단됨. - 정확한 내용은 아님.
6. www.naver.com
무더기로 유입이 이루어질 경우, - 자신이 발행한 오픈캐스트가 네이버 오픈캐스트 메인에 노출로 인하여 트래픽 폭탄이 일어나고 있음.
무더기 유입이 아닌 드문드문 3-4개 정도 연속으로 나올 경우. 내 오픈캐스트 구독자 중 한사람이 네이버오프캐스트 화면에서 MY 캐스트 메뉴로 접근했으리라 판단 - 정확한 내용은 아님.
혹은 내 글을 누군가 오픈캐스트에 가져갔고, 그 내용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노출됨.
7. www.tistory.com/category/???
티스토리 카테고리를 통한 유입.
8. [검색어]search.daum.net/???
다음 검색을 통한 유입.
9. www.google.com
구글 봇으로 판단됨 - 정확한 내용은 아님.
10. t.co.????
새 그림이 있으면 트위터 facebook 그림이 있으면 페이스북을 통한 유입.
11. opencate.???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통한 유입.
제 블로그의 경우, 위 유입경로가 대부분입니다. 그 밖에 간혹 zum들의 유입경로가 보이고 있습니다.
제가 파악할 수 있는 유입경로는 이 정도 입니다. 또 다른 유입경로를 가지신 분들도 많이 있겠지요.~~
이 중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openapi.naver.com 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궁긍해 하시는 것 같습니다.
일단, 자신의 글이 부정한 방법으로 쓰인 글(남의 글을 복사해온 글)이거나 불법적인 내용이 아닌 이상 openapi.naver.com의 유입은 어떤 형태든 긍정적입니다. 결국, 내 블로그의 인지도를 넓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좀 더 심도 있는 분석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아래 그림처럼 다양한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wooraky.tistory.com에서 1월 6일 각 연령대별 애드센스 클릭율을 나타낸 구글 애널리틱스 정보.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데스크 마야 학생용 버전(아카데믹 버전) 다운로드하기 (2) | 2015.01.26 |
---|---|
싱크대 모델링 작업 (0) | 2015.01.25 |
맥북프로 레티나를 고집하는 10가지 이유 (11) | 2015.01.25 |
상상하는 모든 화면을 만들다 드루팔 Views+Chaos tool suite (0) | 2015.01.25 |
강력한 위치기반 드루팔 모듈 - Geolocation (0) | 2015.01.24 |